정부가 다자녀 가구와 초고령화 사회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정책들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세 자녀 이상 가구를 대상으로 한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과 노인맞춤 돌봄 서비스 확대 정책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이번 발표는 제8차 인구 비상대책회의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을 기반으로 하며, 저출생 문제 해결과 초고령화 대응을 위한 다양한 대책이 포함되었습니다.
1. 다자녀 가구 주말·공휴일 고속도로 통행료 20% 감면 추진
세 자녀 이상 가구의 주말 나들이 부담을 줄이기 위해 주말·공휴일 고속도로 통행료 20% 감면 정책이 추진됩니다.
이 정책은 다자녀 가구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 가족 단위 활동을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추가 혜택: 국립자연휴양림 우선 예약 확대
- 현재 37개 국립자연휴양림에서만 운영되던 다자녀 가구 숙박시설 우선 예약이 전국 47개 휴양림으로 확대됩니다.
- 주차요금 면제와 같은 추가 혜택도 포함되어 가족 나들이 환경이 더욱 편리해질 전망입니다.
다자녀 자녀 고등학교 우선 배정 전국 확대
- 다자녀 가구 자녀가 고등학교에 입학할 때 집 근처 학교 배정, 형제·자매와 같은 학교 배정과 같은 우선 배정 혜택이 전국적으로 확대됩니다.
- 이 제도는 현재 일부 지역에서만 시행 중이지만, 앞으로 서울과 수도권을 포함해 전국에서 동일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육아휴직 및 출산 관련 혜택 대폭 확대
정부는 육아휴직 제도와 출산지원금을 대폭 확대하며 출산·양육 친화적 환경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① 육아휴직 대상 연령 확대
- 육아휴직 대상 자녀 연령을 기존 만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에서 만 12세 또는 초등학교 6학년까지로 확대합니다.
-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도 기존 **10일(다태아 15일)**에서 **20일(다태아 25일)**로 늘어납니다.
② 첫째 아이도 출산축하금 지급
- 기존에는 둘째 자녀부터 지급되던 출산축하금을 첫째 자녀 출산 시에도 지급하도록 개선합니다.
- 이는 출산율 제고를 위한 추가적인 지원책으로 큰 효과가 기대됩니다.
③ 육아휴직 지원금 지급 방식 개선
- 중소기업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육아휴직 또는 근로시간 단축을 허용하면,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퇴사해도 남은 지원금을 전액 지급하는 방식으로 변경됩니다.
- 이를 통해 사업주의 부담을 줄이고, 근로자가 육아와 직장을 병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3. 노인맞춤 돌봄 서비스 ‘전체 노인’으로 확대
초고령화 사회를 대비해 기존 취약계층 중심으로 시행되던 노인맞춤 돌봄 서비스가 전체 노인으로 확대됩니다.
정부는 노인들이 살던 곳에서 편안하게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건강단계별 돌봄과 서비스의 다양화를 추진합니다.
① 돌봄 서비스 내용 확대
- 기존 단순 가사 서비스 외에도 병원 동행, 식사·영양 관리, 인지 건강 운동과 같은 신규 서비스를 추가합니다.
- 치매 예방을 위한 인지강화 콘텐츠 개발과 고립 방지 프로그램도 강화됩니다.
② 고령친화주택 활성화
- 신규 공동주택에 무장애 시설과 식사·청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령친화 환경을 확충합니다.
- 고령친화주택을 일정 비율 이상 건설할 경우, 용적률 상향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기존 주택도 고령친화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 대상 확대와 금액 상향을 추진합니다.
4. 요양보호사 확충 및 시설 개선
돌봄 인프라 강화를 위해 요양보호사 확충과 요양시설 개선도 포함되었습니다.
① 요양시설 개선
- 기존 4인실 중심의 요양시설을 1·2인실과 공용공간으로 구성된 유니트케어 방식으로 개조해 사생활과 자율성을 보장합니다.
- 현재 전국 8개인 유니트케어 요양시설을 2027년까지 50개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② 비급여 서비스 확대 검토
- 요양시설 내에서 제공되는 **비급여 서비스(식재료비, 이·미용비 등)**를 확대해 입소자 편의를 증진할 방안을 검토합니다.
5. 정부의 목표: 저출생과 초고령화 문제를 동시에 해결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저출생 반전 모멘텀을 더욱 공고히 하고, 초고령화 사회에서도 국민들이 편안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방침입니다.
특히, 다자녀 가구 지원과 노인 돌봄 체계 강화는 우리 사회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주형환 부위원장은 "앞으로도 정부는 모든 과제에 대해 회피하지 않고 해법을 모색하겠다"라고 강조했습니다.
국민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이 성공적으로 시행되길 기대해 봅니다.
결론: 정부의 정책,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변화
이번 세 자녀 이상 가구 통행료 감면과 노인맞춤 돌봄 서비스 확대 정책은 저출생과 초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입니다.
우리 모두가 정부의 정책 변화를 주목하며, 앞으로 펼쳐질 긍정적인 변화를 함께 기대해 봅시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http://www.korea.kr>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정책을 제공하는 포털사이트로 정책뉴스, 정책포커스, 국민이말하는정책, 정책기고, 문화칼럼, 사실은이렇습니다, 멀티미디어뉴스, 보도자료, 브리핑자
www.korea.kr